※ 원고 제출 시 유의 사항
1. 논문 투고자 자격:인문과학 계열에 소속된 교내, 교외의 전임교원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에 한한다. 단, 전임교원과 공저자인 경우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논문 투고 범위:게재되지 않은 미발표 논문으로서 전공분야의 독창성이 있는 인문과학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다.
3. 『서강인문논총』의 학술지 성격에 부합되지 않다고 판단되는 투고논문은 편집위원회 회의를 거쳐 반려할 수 있다.
4.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홈페이지(http://human.sogang.ac.kr) 온라인투고시스템에 접속하여 제출한다.
5. 저작권 규정
1) 본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인 서강인문논총에 게재된 논문 등 모든 글의 저작권은 본 학회에 이양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저작권에는 디지털 복제권 및 전송권을 포함한다.
3) 다만 게재된 논문 등 모든 글의 필자가 본인의 글을 사용할 경우, 학회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를 승인한다.
※ 논문투고신청서
※ 원고 작성 시 유의 사항
1. 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된 논문은 논문 첫 머리에 연구비 지급원을 밝힌다.
2. 직접 인용구 또는 직접 인용문은 한국어 역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맥락상 필수적인 경우에는 그대로 인용할 수 있다.
3. 각주 및 참고문헌은 다음의 양식을 원칙으로 한다.
4. 연구자 논문 발표 시 논문에 소속과 직위를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
<각주>
1-1) 단행본의 경우: 저자명 또는 편저자명, 책이름(서양의 도서명은 이탤릭체로 표기), 출판사, 출판연도, 쪽수(서양의 도서명은 이탤릭체로 표기)
예) 김재원, 『경복궁야화』, 탐구당, 1991, 62쪽.
예) Bernstein David, Creative Advertising, London: Longman, 1974, p.125.
1-2) 고서의 경우: 『서적명』, 「편명」 「편명」 「조명」 「글명」…의 내림차순 배열을 따른다. 다만 같은 대등항목일 경우, 예를 들면 편명이 대등항목일 때 『서적명』 「편명」・「편명」으로 나열함을 원칙으로 한다.
예) 李鈺, 『李鈺全集』 卷1, 휴머니스트, 2009, 「記」・「賦」 참조. 특히 李鈺全集 卷1, 「記」, 「南程十篇」, 「路問」 참조할 것.
1-3) 역서의 경우: 저자명, 역자명, 서적명, 출판사명, 년도, 쪽수의 순을 따른다.
2-1) 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잡지명 권호수, 출판년도, 쪽수(서양어 논문제목은 「 」 대신 “ ”으로 표기)
예) 천관우, 「반계 유형원 연구」, 『역사학보』 2, 1952, 15쪽.
예) Susan Eckstein, “The Impact of Revolution on Social Welfare in Latin America”, Theory and Society 11:1, 1982, pp.43~45.
2-2) 편저 수록 논문일 경우에는 저자명, 편저자명, 논문명, 편서명, 출판년도, 쪽수의 순을 따른다.
3) 인터넷 자료의 경우
▪ 단행본과 논문 모두 웹사이트 주소, 웹 접속일을 기재한다.
4) 동일 저자나 논문이 두 번 이상 인용되는 경우
▪ 저자, 주 번호)의 논문(또는 책), 쪽수(서양어로 쓰인 경우에는 p. 또는 pp.)
예) 국내 논저
1) 김재원, 『경복궁야화』, 탐구당, 1991, 62쪽.
2) 천관우, 「반계 유형원 연구」, 『역사학보』 2, 1952, 15쪽.
3) 천관우, 주 2)의 논문, 20쪽.
4) 김재원, 주 1)의 책, 62쪽; 정진석, 『극비-조선총독부의 언론검열과 탄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92쪽.
5) 정진석, 주 4)의 책, 200~204쪽.
예) 외국 논저
1) Susan Eckstein, “The Impact of Revolution on Social Welfare in Latin America”, Theory and Society 11:1, 1982, pp.43~45.
2) Stephen C Levinson, Presumptive Meanings,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000, p.20.
3) Ibid., pp.21~30.
4) Susan Eckstein, op. cit., p.38.
<참고문헌>
예) 단행본
이기문,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Levinson, Stephen C. Presumptive Meanings,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000.
예) 논문
김양선, 「여성성과 대중성이라는 문제 설정-젠더화된 문화적 기억의 재현을 중심으로」, 『시학과 언어학』 10, 2005.
Eckstein, Susan. “The Impact of Revolution on Social Welfare in Latin America”, Theory and Society 11:1, 1982, pp.43~45.
4. 본문 규격은 다음의 사항을 따른다.
1) 편집용지-용지정리: 사용자 정의/용지여백: 위쪽 20mm, 아래쪽 15mm, 왼쪽 30mm, 오른쪽 30mm, 제본 0, 머리말 15mm, 꼬리말 15mm
2) 본문-줄 간격 160% 여백좌우: 0, 간격 위아래: 0, 정렬방식: 양쪽 혼합, 낱말간격: 0, 첫째 줄 들여쓰기: 10pt, 논문제목(부제): 16pt(12pt)로 가운데 정렬, 한 줄 띄우고, 성명: 12pt 두 줄 띄우고, 목차: 10pt, 두 줄 띄우고 박스를 만들어 작성, 장 제목(절 제목): 12pt(11pt)로 가운데 정렬.
3) 목차의 제목에 붙이는 번호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작성한다.
[보기]Ⅰ. 1. 1) (1) ① 또는 Ⅰ. 1.1 1.1.1 목차의 제목은 위아래에 한 줄씩 띄어 쓴다. 위의 네 번째 제목 (1) 또는 1.1.1.1과 다섯 번째 소제목 ①과 본문 사이는 띄어 쓰지 않는다.
4) 국문초록-200자 원고지 3~5매에 국문초록과 국문 주제어를 서론 앞에 작성한다. 글자모양 및 문단모양은 본문과 동일.
5) 영문초록- 300~500단어에 해당하는 영문초록과 영어 키워드를 <참고문헌>뒤에 첨부한다. 글자모양 및 문단모양은 본문과 동일.
5. 본문과 주에서 사용되는 기호
1) “ ”: 별행으로 하지 아니한 짧은 인용문 또는 서양어 논문의 표시
2) ‘ ’: 특수한 용어나 구절의 강조, 또는 인용문에 삽입된 재인용문
3) 『 』: 국문으로 번역되거나 쓰인, 논문 이외의 모든 단행본 또는 작품의 표시, 잡지
4) 「 」: 국문으로 쓰이거나 번역된 논문의 표시
5) 《 》: 신문명
6) · : 짧은 동격 항목의 나열
7) [ ]: 동일한 내용의 다른 표기
8) […]: 중략 또는 생략 표시
9) ~ : 숫자의 시작과 끝의 연결
10) -: 동격 복합어의 연결, 주에서 복수의 쪽수 연결
11) : : 부연 설명하는 복수의 구절들이나 문장들의 예고 표시
12) ; : 부연 설명이나 문장들의 중간 마침표
13) 진한 글씨: 인용문에 있는 구절의 강조 (인용문 이외의 강조는 ‘ ’를 사용)
14) 밑줄: ‘ ’ 보다 더 강조하는 구절이나 문장
15) 이탤릭체: 서양어로 씌어진, 논문 이외 모든 작품의 표시
6. 필자의 성명, 논문 제목은 국문 및 영어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 밖의 사항은 일반적인 관례에 따른다.
1992년 3월 30일 제정
2009년 6월 30일 1차 개정
2018년 5월 30일 2차 개정
2019년 8월 12일 3차 개정
2019년 11월 27일 4차 개정
2020년 4월 10일 5차 개정
2020년 12월 22일 6차 개정